본문 바로가기

저널리즘 현장/언론정책

국민 행복의 조건, 좋은 국제뉴스


국민 행복의 조건, 좋은 국제뉴스


지구촌이라는 말이 있지만 ‘생명과 재산과 존엄’에 대한 보호를 핵심으로 하는 국민 행복은 여전히 국가 책임이다. 약소국 국민이 굶주리고, 병들고, 피를 흘려도 강대국이 도와줄 의무는 없다. 행복의 조건 중의 하나가 부유하고 강한 나라에서 태어나는 것이라는 말은 그래서 틀리지 않다.


국민은 그 대가로 세금을 내고, 노동을 하고, 국방의 의무를 감당한다. 100% 완벽하지는 않지만 국민 행복을 이끌어 내지 못하면 선거와 여론을 통해 관련자들을 문책한다. 행복을 위해 개인이 짊어져야 하는 몫이 있는 것처럼 국가 역시 비슷한 과제가 있다.


적절한 수준의 사회복지를 위해서는 우선 경쟁력이 있어야 한다. 노트북, 자동차와 첨단 무기를 수출할 수 있는 국가와 팔 것이라곤 커피나 옥수수밖에 없는 국가는 다르다. 통신망, 도로망, 공중보건과 교육시설 등도 갖추어야 한다. 공정하고 투명한 법 집행과 기회의 균등 및 신뢰와 같은 시민의식은 당연하다. 국가이익에 관련된 변화를 제대로 관찰하고 종합하고 적절한 전략도 찾아야 한다. 국익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잘못 알려졌거나 왜곡된 정보는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 국제뉴스는 여기에 개입한다.


인터넷 혁명은 많은 것을 바꾸었다. 국제뉴스는 더이상 특파원만 생산하지 않는다. 국내 언론에 보도된 뉴스는 페이스북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퍼져 나간다. 뉴스 접속 창구도 다양해졌다. 해당 언론사에 직접 접속하거나 번역된 뉴스도 많다. 그러나 현실에서 국제뉴스는 여전히 언론을 통해 ‘중재’된다.


관심이 많아도 투자할 수 있는 자원은 한계가 있다.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데 굳이 인터넷을 돌아다닐 필요는 없다. 정보가 많아질수록 ‘신뢰할 만한, 권위가 있는, 정교하게 가공된 뉴스’에 대한 수요는 오히려 증가한다. 게다가 잘못 알려진 정보에도 침묵할 경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언제든지 자유롭게 말할 수 있음에도 반박하지 않으면 인정하는 것으로 본다. 국제사회가 앞다퉈 24시간 영어 채널을 설립하고 제대로 된 국제뉴스를 수신하고 발신하는 데 상당한 공을 들이는 것은 이런 까닭에서다. 


2016년 한국의 풍경은 사뭇 다르다. 국제뉴스는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인터넷을 통해 쉽게 접할 수 있는 뉴스를 단순 번역한다. 로이터, AP와 AFP 등 서방 통신사에만 주목한다. 외신도 소속 국가의 국익이나 여론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점도 무시된다.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는다. 진실을 보여 주는 대신 정치적 입장에 맞는 뉴스만 골라서 전달한다. 


한국은 이미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이다. 전문적이고 품격 있는 국제뉴스를 위한 지원이 가능한 규모다. 뉴스 품질을 평가하고 더 좋은 뉴스를 권장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갖출 수 있다. 국제사회를 대상으로 한 담론 경쟁을 위해 가칭 ‘Korea 24’와 같은 영어 매체를 설립할 실력과 기술이 있다. 공동체 차원에서 국제뉴스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이끌어 내는 것도 더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다.


반복되는 핵 위기에서 보듯 한반도 평화 문제는 우리가 관심을 갖고 우리의 관점을 내세우지 않으면 해결되지 않는다. 경제발전과 민주화 등 국제사회와 나눌 수 있는 것도 많다. 우리를 대신해 외신이 이 역할을 해 줄 것 같지는 않다. 많은 국가들이 막대한 예산과 인력을 국제뉴스에 쏟아붓는 이유는 그게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성숙한 눈으로 세상을 보지 못하고 제대로 된 의견을 말하지 못하는 국가의 미래는 암울하다.


김성해 대구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 저널리즘학 연구소 연구위원 (2016. 4. 7. 서울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