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와 쟁점/칼럼/기고

연합뉴스가 뿌린다는 '괴문서' 살펴보니....

"포털 뉴스 공급은 소매가 아니라 B2B... 네이버 독점은 올드 미디어 전체의 책임."


조중동 등 보수 언론이 연일 네이버를 공격하면서 연합뉴스에 네이버 뉴스 계약 중단을 요구하고 있는 것과 관련, 연합뉴스가 설명자료를 만들어 일부 정치권과 학계에 뿌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언론사들 사이에서는 연합뉴스가 괴문서를 뿌리고 있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미디어오늘이 6일 입수한 문건은 A4용지 4장 분량으로 "연합뉴스의 포털 뉴스 공급은 소매가 아니라 B2B 서비스"라고 주장한 대목이 눈길을 끈다.


연합뉴스는 이 문건에서 "연합뉴스의 포털 뉴스 공급은 다른 언론 매체들에 공급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B2B에 해당된다"면서 "오히려 신문들이 포털에 뉴스를 공급함으로써 B2C에서 B2B 영역으로 확대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신문법에도 포털을 뉴스 서비스 사업자로 규정하고 있고 언론계에서도 포털을 언론사의 새로운 형태로 인식하고 있는데 뭐가 문제냐는 주장이다. AP나 AFP 등 해외 뉴스 통신사들도 포털에 뉴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연합뉴스는 또 "일부 신문이 뉴욕타임스처럼 콘텐츠 유료화 방침을 정하고 종이신문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싣는 콘텐츠와 유료화할 콘텐츠를 어떻게 차별화할 것인지를 검토 중인데 언론계에서는 유료화 콘텐츠가 각사의 차별화된 콘텐츠, 즉 프리미엄 콘텐츠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라면서 "신문들이 유료화할 프리미엄급 콘텐츠와 속보 위주의 연합뉴스 기사와는 충돌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포털의 온라인 뉴스 시장 주도는 연합뉴스만의 책임이 아니라 포털에 헐값에 뉴스를 넘기기 시작한 신문·방송 등 올드 미디어 전체의 책임"이라고 지적한 대목도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는 "연합뉴스가 포털 뉴스 공급을 중단하더라도 신문들이 온라인 뉴스시장 주도권을 찾기 어려울 것이고 뉴스 품질이 떨어지는 다른 인터넷 매체들이 그 공백을 채워 온라인 뉴스 시장 전체적인 질적 저하를 불러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는 "공동 책임 부분을 빼고 연합뉴스에만 책임을 전가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연합뉴스가 포털에서 수백억원의 콘텐츠 이용료를 받는다는 비난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크게 부풀려진 것으로 사실과 전혀 다르다"는 이야기다. 연합뉴스는 "실제는 주요 신문들이 연합뉴스보다 더 많은 매출을 거두고 있다"면서 "신문들은 콘텐츠 이용료를 받는 것과 별개로 이른바 클릭장사로 추가 매출을 확보하고 있다"고 비난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관계자는 이 문건을 언론계 일부에 배포한 사실을 인정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언론사들과 각을 세워서 뭐하겠느냐"면서 "도대체 연합뉴스의 입장은 뭐냐고 묻는 사람들에게 설명하기 위한 차원에서 만든 문건"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연합뉴스는 일부 신문들이 위기 타개 전략으로 선택한 콘텐츠 유료화를 적극 지원할 의사가 있다"면서 "신문과 포털, 연합뉴스 3자 논의의 틀을 만들어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언론계 한 관계자는 "연합뉴스의 포털 뉴스 공급이 B2C가 아니라 B2B라서 문제가 없다는 건 황당무계한 주장이지만 연합뉴스 때문에 유료화가 안 된다는 일부 언론사들의 주장도 억지스럽기는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몇몇 언론사들이 빠진다고 해서 갑자기 포털 이용자들이 돈을 내고 뉴스를 구매할 것 같지는 않다"면서 "언론사 수익모델과 저널리즘의 복원을 위한 중장기적인 대안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이정환 미디어오늘 기자 (201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