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와 쟁점/칼럼/기고

‘국민걱정원’



 ‘국민걱정원’


영화 ‘7급 공무원’은 2009년 4월에 개봉한 국가정보원의 직원을 소재로 한 로맨틱 코미디이자 스파이액션 영화다. 몇 년 전 신문 사회면에 국정원 직원이라는 아내에게 속아 사기당한 가족의 사건이 보도됐는데, 이 영화 탓이 아니었을까. 1994년 개봉작으로 미국의 정보기관인 중앙정보국(CIA) 요원의 비밀주의를 그린 코믹 액션 영화 ‘트루 라이즈’도 있다. 


‘7급 공무원’에서 여주인공 ‘수지’는 여행사 직원으로 위장한 6년차 국정원 요원이다. 수지는 직업 특성상(?) 남자 친구 ‘재준’에게 거짓말을 밥 먹듯 하다 일방적인 이별을 통보받았다. 그로부터 3년 뒤 재준과 재회한다. 재준은 러시아로 유학을 떠났다가 국정원 해외 파트 요원이 돼 돌아온 것이다. 이 둘은 자신의 직업을 완전히 속이면서 러시아 출신 산업 스파이를 뒤쫓는다. 그 과정에서 서로 신분을 알아 가게 된다. 어수룩한 ‘초짜’ 국정원 직원이 목숨을 내걸고 산업기술을 빼가려는 스파이들에 맞서 국익을 챙기는 모습을 보면서 변화된 국정원의 역할에 고개를 주억거렸다. 권위주의 정부 시절 민간인·정치인 사찰이나 과도한 국정 개입 등으로 논란이 된 국정원 국내 파트를 참여정부 등에서 축소하고 산업 스파이를 잡아 내는 파트를 강화했는데 그 역할 조정이 반영된 것으로 보였다. 


이안 플레밍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첩보영화 ‘007시리즈’의 스파이는 16세기 엘리자베스 1세 여왕 시절에 시작됐다. 변방의 영국이 제국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고 칭송받는 여왕 엘리자베스 1세에게 정치·외교 문제에 대해 조언해 주던 점성술사이자 만물박사인 존 디가 있었다. 존 디는 스코틀랜드 메리 여왕의 역모를 잡아내는 공헌을 하기도 했다. 그는 엘리자베스 1세에게 보내는 밀서에 눈을 뜻하는 00과 행운의 숫자인 7을 써 보냈다고 한다. 이것이 007의 시작이라고 박상익 우석대 교수는 ‘나의 서양사 편력 1’편에 소개했다. 즉 스파이는 은밀하게 조언하고 자신의 능력을 발휘해야 한다. 


국정원의 표지석은 중앙정보부 시절인 1961년부터 ‘음지에서 일하고 양지를 지향한다’였으나, 김대중 정부에서는 ‘정보는 국력이다’로 바뀌었다. 이명박 정부에서는 ‘자유와 진리를 향한 무명의 헌신’으로 다시 바뀌었지만, 표지석과 거꾸로 국정원이 활동한 것이 아닐까 싶을 정도의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최근 국정원은 이탈리아 해킹 업체에서 2012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해킹 프로그램을 구입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해킹 업체의 정보가 해킹당하면서 적나라하게 드러난 것이다. 국정원은 2012년 대선 때에는 특정 후보를 음해하는 댓글을 다는 등으로 정보기관의 정치적 중립의 의무를 훼손했다. 국정원의 나쁜 짓이 발각돼 무척 다행스럽지만, 국정원의 어수룩한 일처리 능력과 수준 탓에 ‘국민걱정원’이라는 별명이 더 잘 맞는 이름이 아닌가 싶다.


문소영 서울신문 논설위언/ 저널리즘학 연구소 (2015. 7. 17. 서울신문)